본문 바로가기
Game Story

[검은사막] 돈벌기 필수 거점 투자 및 일꾼 투입하기!!

by 유량이 2020. 9. 28.
728x90

검은사막을 처음 캐릭을 열심히 키우다 보면 기운이 쌓이고 공헌도가 쌓이게 되는데 이것으로 돈을 벌수 있습니다.

사냥과 퀘스를 하면서 모은 기운과 공헌도를 각 마을에 투자해서  일꾼을 고용하고 거점에서 여러가지를 채집할수 있습니다.

벨리아 마을

사진에서 보는거와 같이 거점에 곡갱이 표시가 있는게 열심히 일꾼들이 일을하고 있다는 표시입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아셔야 하는거는 메인 마을은 따로 공헌도를 투자 하지 않아도 되는데 메인 마을 주변에 있는것은 공헌도를 투자해야되고 공헌도를 투자하기 위해서는 기운이 필요합니다.

공헌도는 거점별로 차이가 있고 한번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기운 10이 필요합니다. 초반에는 기운도 많이 부족하고 공헌도도 얼마 안도기때문에 어느정도 사냥과 퀘스트를 진행하고 투자를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벨리아 마을 한군데를 투자한다고 해도 기운과 공헌도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1. 벨리아 마을 일꾼 수는 기본 1명 + 숙소 6명입니다. 근데 6명의 숙소를 잡아주기 위해서는 6의 공헌도가 필요합니다.

   숙소 위치는 사진을 참조해 주세요.

벨리아 마을 숙소
토스카니 농장 숙소

2. 공헌도로 일꾼을 뽑을려면 마을에 있는 작업감독관을 찾아가면 됩니다. 벨리아 마을은 산토 만지 NPC입니다.

  근데 일꾼을 계약할려면 한번 뽑을때마다 기운이 5씩필요합니다. 그러면 7명을 뽑을려면 최소 35의 기운이 필요하고 좋은 일꿑들로만 뽑을려면 100이상의 기운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벨리아에서는 파랑색 일꾼이 제일 높은 단계입니다. 노랑색 일꾼이 안나오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일꾼의 단계는 흰색 -> 녹색 -> 파랑색 -> 노란색 순으로 좋은순입니다. 10레벨마다 승급이 가능하니 처음부터 파랑색을 뽑을 필요는 없지만 녹생정도로 뽑아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이렇게해서 일꾼을 뽑아 주셨다면 마지막으로 거점에 투자를 해서 일꾼을 돌리면 됩니다.

3. 거점투자하는 방법은 기운과 공헌도가 둘다 필요합니다. 

  거점투자에 기운은 무조건 10이 필요하고 공헌도는 거점을 클릭해보면 필요 공헌도가 써있습니다.

애화저 언덕 공헌도 사진

사진처럼 애화저 언덕에 거점을 사용하려면 공헌도 1이 필요하고 왼쪽에 공헌도 투자 버튼을 눌러주면 되는데 이때 기운10이 없으면 투자를 할수 없습니다. 그리고 애화저 언덕에만 투자를 한다고 바로 일꾼이 일을 할수 있는것이 아니고 사진에서 보이는 채집이나 벌목에 또 투자를 해야지만 일꾼을 보내 일을 시킬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설명드린게 내용인 많은거 같아도 기운과 공헌도가 충분하다면 직접 해보신면 금방 진행되는 내용입니다. 이렇게 투자를 하시면 채집한 품목을 마을 창구에 쌓이게 됩니다.

보통 채집이나 벌목 등 작업은 한시간 전후로 잡업해서 창고로 들어오게됩니다. 그리고 작업을 시켜놓을때 횟수를 최대한도(50000)로 잡아 높구 시키면 반복적으로 일을 합니다. 

그리고 여기 1가지 TIP을 드리면 거점 투자나 숙소 투자는 멀리서 사냥하고 있어도 M을 눌러 가능하니 기운이 차는데로 틈틈히 해놓구 사냥중에 기운을 가득 채웠을때 마을에 와서 일꾼을 뽑으시는게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일꾼을 돌리기 시작하면 일꾼의 체력을 채워주는 맥주가 필요한데 거래소에서 구입을 하거나 직접 채집한것과 재료를 사서 맥주를 만들수도 있습니다.

기운을 회복해주는 물약도 있지만 가격이 비싸서 추천해드리지는 않습니다.

기운은 접속한캐릭터는 3분당 1이 회복되고 비접속 캐릭터는 1시간에 1이 회복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운의 총량을 늘리는 방법은 지식작이라고 있는데 초반에는 하기 힘드니 1캐릭 정도는 50이 넘을때까지 키워서 어느정도 맵을 까고 나서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공헌도는 퀘스트를 해서 늘리는 방법이 가장 기본적이고 요리를 통해서 나오는 마녀의 별미가 있는데 이걸로도 공헌도를 높일수 있는데 이거는 다음번에 포스팅해서 올리도록하겠습니다.

궁금하신것은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해 드릴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댓글